전체 글77 [Linux] 019. 사용자의 패스워드 변경 명령어 & 사용자 계정 생성 시, 기본 설정 파일 설정 방법 1. 사용자 패스워드 변경하도록 설정하는 명령어 와 옵션 : chage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설정하는 명령어는 'chage'입니다. 'chage+ 옵션 + 계정명'명령어를 입력하면, 해당 아이디의 패스워드에 관련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chage' + 옵션 'l(엘) + 계정명' 'chage -l'를 입력하면 계정에 설정된 패스워드 사용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chage' + 옵션'm(소문자엠) + 일 수 + 계정명' 'chage -m 7 user3'을 입력하면 계정이 설정한 패스워드를 사용해야하는 최소 일 수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위의 사진처럼 7을 설정 시에 변경 후 최소 7일 동안은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3) 'chage -M(대문자엠) + .. 2020. 12. 4. [Linux] 018. 사용자 패스워드 설정 하는 방법& 패스워드 관련 설정 정보 1. 사용자 패스워드 설정하는 방법 : passwd 리눅스에서 패스워드 설정은 관리자만 설정이 가능합니다. 사용방법은 'passwd + 계정명'을 치고 해당 계정의 비번을 동일하게 두번 입력해주면 됩니다. 위에 사진처럼 패스워드를 두번 입력하면 설정이 된것입니다. 그럼 이제 패스워드가 잘 입력되었는지 로그인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퍼티창을 여러개 띄우는 방법은, 퍼티창 위에 커서를 가져다 놓고 '마우스 우클릭'을 하고나서 'Duplicate session'을 클릭합니다. (한글판도 동일한 위치에 있습니다) 위에처럼 로그인이 잘 되었으며 '$'표시가 있는 것으로 보아 관리자가 아닌 사용자임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 로그인시에 위에처럼 뜬 글이 있다면 로그인 성공하기 전에 몇 번의 로그인 실패가 있었는지 .. 2020. 12. 3. [Linux] 017. 사용자 계정 생성하는 방법과 옵션 1. 사용자 계정 생성하는 방법과 옵션 명령어 : useradd 리눅스에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명령어는 'useradd'를 사용하며 아래와 같이 추가할 'option'과 그에 해당하는 인자값이 있으면 추가하여주고, 마지막에는 생성하고 싶은 계정명을 입력하면 시스템에 설정되어 있는 기본 생성 정보대로 사용자가 생성이 됩니다. 위에 사진처럼 명령어를 입력하면 'user1'이라는 사용자가 생성이 됩니다. 그리고 나서 'tail -3 /etc/passwd(etc디렉토리에 passwd 디렉토리에 아래에서부터 3개의 파일을 확인한다)'라는 명령어를 치고 확인을 해보면 'user1'이라는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 사용자 계정 생성 옵션 필드 .. 2020. 12. 2. [Linux] 016. shell이란? & shell의 종류 3가지 & 사용자 계정 관리에 대하여 사용자 계정 관리 : user account managment 사용자 관련 파일/디렉토리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중에 오늘은 'passwd'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tc/ 디렉토리에 있는 '/passwd'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파일입니다. 생성된 사용자 정보는 '/etc/shadow'에 저장이 되고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etc/passed'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선, '/etc/passwd' 라고 치되 'tail -3'을 입력하여 아래쪽부터 3라인이 나오도록 명령을 하면 위와 같이 나옵니다. 'tommy'라는 계정에 대한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차근차근 하나씩 확인해보면, 1. 'tommy'는 계정명(사용자명)을 나타내는 필드입니다. 2. 'x'는 패스워드(비.. 2020. 12. 1.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20 다음